오는 이가 있으면 가는 이가 있는 법이다. 피바람이 불어올지도 모른다.
현대건설이 국가대표 출신 미들블로커 김희진을 영입하는 것이 확실시된다. 현대건설 팀 행사에 김희진이 참석했다는 목격담을 시작으로 김희진의 이적설이 일파만파 퍼졌고, 복수 언론의 보도와 현대건설 관계자의 발언으로 사실상 26일 오피셜 영입 발표가 유력해졌다.
현대건설은 이다현의 이적으로 미들블로커 포지션에 구멍이 생긴 상황이었다. 경험 많은 김희진의 영입으로 급한 불을 끌 수 있게 됐다. 김희진은 최근 부상 및 재활과 기량 하락으로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환경에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선수들도 많은 만큼 그 사례가 돼준다면 경험과 피지컬을 살려 쏠쏠한 활약을 펼쳐줄 수 있는 자원이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김희진의 지난 시즌 연봉은 보장 1억 원에 옵션 2천만 원으로 총액 1억 2천만 원이었다. 보장 4천만 원에 옵션 5천만 원으로 총액 9천만 원이었던 이다현보다 3천만 원이 많은 액수다.
게다가 자유계약선수(FA) 양효진이 재계약 과정에서 보장 연봉과 옵션이 모두 1억 원씩 오른 총액 8억 원을 받게 되면서, 이다현과 고예림의 동반 이적에도 불구하고 샐러리캡 관리가 상당히 빡빡해졌다는 풍문이 들린다. 기존 계약 사항 또는 연봉 협상을 통해 보수가 인상될 선수들도 있다는 것과, 다음 비시즌에 핵심 선수 김다인의 FA가 다가온다는 것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그래서 현대건설에 ‘피의 봄바람’이 불어오지 않겠냐는 배구계의 시선이 있다. 삭감 대상자들의 삭감 폭이 상당히 커지거나, 아예 방출되는 선수들이 많아질 수 있다는 것. 특히 1~2년차 시즌을 마친 신인 선수들이나 지난 시즌에 부상 등의 이유로 제몫을 하지 못한 선수들이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후속 트레이드의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백업 자원의 퀄리티가 나쁘지 않은 현대건설이 타 팀과의 트레이드를 통해 몸집을 줄이고 지명권 혹은 젊은 선수들의 보강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희진의 영입은 현대건설 입장에서 분명 납득할 만한 이유가 있는 영입이다. 그러나 들어오는 이가 있으면 나가는 이가 있는 법이다. 마침 샐러리캡 관리에 열을 올려야 할 현대건설이기에 나가는 이, 혹은 남더라도 상처를 받는 이는 늘어날지도 모르겠다.
사진_KOVO
[저작권자ⓒ 더스파이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